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줄거리

    어느 시골마을에서 약재상 일을 하는 혜자(김혜자). 그녀가 사는 낙은 아들 도준(원빈)이 전부다. 육체적인 나이는 28살이지만 어린애처럼 어수룩하고 사고를 많이 치는 철부지 청년인 도준때문에 혜자는 한시도 아들 곁에서 눈을 뗄 수가 없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에 한 소녀가 살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이후 경찰조사가 시작됐는데 놀랍게도 도준이 가담됐다는 정황이 밝혀졌고 도준은 손쓸 틈도 없이 살인혐의로 체포당해 구치소에 수감된다. 아들이 살인 자라는 걸 믿을 수 없었던 혜자는 아들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지만 경찰은 사건을 종결시켜 버렸고 데려온 변호사는 돈만 밝히기 일쑤다. 결국 혜자는 자신이 직접 나서기로 한다. 그녀는 아들을 위해 미지의 여자가 살해당한 것으로 오해받은 한 소설가의 살인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힘쓰게 된다. 그러나 현실은 복잡하고 인간의 욕망은 꼬리를 물며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동안 어머니는 더 큰 상처를 입게 된다. 도준의 혐의가 굳어져 갈수록 엄마 또한 절박해져만 간다. 

     

     

    등장인물

    엄마 (김혜자) 영화의 주인공. 약재상을 하고 있으며 사는 낙은 아들 도준이 전부다. 어느 날, 도준이 살인혐의로 수갑이 채워져 연행되자 아들의 결백을 밝혀내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게 된다.

    윤도준 (원빈)영화의 남주인공. 육체적인 나이는 28살이지만 지능이 낮아하는 행동이 어린아이처럼 어수룩해서 사고를 많이 친다. 어느 날, 마을에서 벌어진 살인사건 용의자로 체포됐다.

    진태 (진구) 도준의 불량배 친구. 날마다 도준을 사고 치는 일에 끌어들이는 통에 혜자는 아들이 진태와 어울리는 걸 좋아하지 않지만 본인은 아랑곳하지 않고 날마다 준석과 어울린다.

    제문(윤제문) 소녀 살인사건을 길게 끌고 싶지 않아 동네 바보 소년을 범인으로 확정한 뒤 하루라도 빨리 사건이 종결되길 바라는 형사 중 한 명이다. 

     

     

    영화결말

    영화는 결국 도준이 저지른 살인이 맞았었고, 아무것도 모르고 있던 혜자는 그런 아들을 위해 죄가 없는 사람들을 의심하면서 살인자로 몰아가기 바쁘다. 여러 상황을 접하게 되면서 결국 이번 살인사건의 범인이 도준이라는 걸 알게 된 혜자. 하지만 이를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혜자는 살인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인 고물상 주인을 찾아가게 된다. 자신의 아들을 무죄라고 꾸미려고 했지만, 이 사실을 철석같이 믿은 고물상 주인은 목격자 얼굴을 자신이 직접 확인했었다며 다시 한번 경찰에 신고를 하려고 하는데.. 이때 혜자는 이성을 잃고 주위에 있던 스패너로 고물상 주인의 머리를 내려치기 시작한다. 한참을 그러고 난 후에 정신을 차리게 되는데, 그제야 자신이 무슨 짓을 저지른 지 깨닫고 고물상 주인집에 화재를 일으키고 그대로 도주를 한다. 결국 살인사건의 범인은 도준이 아닌 애먼 사람으로 결정이 되면서 도준은 경찰로부터 풀려나게 된다. 어느 날, 도준은 우연히 고물상 주인의 집에서 엄마의 침통을 발견하게 되는데.. 엄마에게 침통을 건네며 "정신없이 이런 걸 흘리고 다니면 어떡해"라고 말을 한다. 살인사건의 전말을 알고 있었던 유일한 존재 혜자는 영화에서 끊임없이 언급이 되었던 "아픈 기억을 잊게 하는 혈"을 침으로 찌르면서 망각 속에 모든 걸 묻어버린다. 

     

     

    영화평가  

    '마더'는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명감독 봉준호의 작품 중 하나로, 그의 특유한 감성과 예술성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작품은 현실과 이상, 가족과 사회적 이슈를 다루며, 탁월한 연출과 연기력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다. 특히, 주인공인 어머니의 행동과 욕망은 관객들에게 감동과 공감을 전달하며, 작품이 끝나고도 여러 가지 생각거리를 남기게 된다. '마더'는 훌륭한 스토리텔링과 감정선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전달하며, 봉준호 감독의 예술적인 세계를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이다. 2009년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에 공식 초청되어 봉준호 감독과 김혜자, 원빈이 제작진과 출연진 자격으로 레드카펫을 밞았다. 2010년 제8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부문의 한국 출품작으로 선정됐다. 또한 미국 골든글로브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1차 후보로 선정되었지만 최종 후보에서 고배를 마셨다. 한국영화 최초로 미국 스피릿어워드 외국영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또한 2011년 미국 보스턴, 샌프란스시코 등 다수 영화비평가협회에서 한국영화로는 최초로 최우수 외국영화상을 수상하였고, LA영화비평가협회에서는 주연인 김혜자가 한국배우로서는 최초로 주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반응형